‘풍력발전 50년’ 제주, 대한민국 해상풍력 청사진을 그리다

제주도, 국회서 ‘풍력 개발 50년, 제주의 성과와 과제’정책토론회 개최
오영훈 제주도지사 "이재명 정부 에너지 고속도로, 제주가 선도” 강조

국내 최초 풍력발전지로서 50년 역사를 자랑하는 제주도가 해상풍력의 메카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 방향과 산업 발전 전략을 모색하는 토론의 장을 마련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7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풍력 개발 50년, 제주의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 오영훈 제주지사가 17일 국회에서 열린 ‘풍력 개발 50년, 제주의 성과와 과제’ 정책토론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토론회는 대한민국 최초로 풍력발전을 시작한 제주도의 50년 간의 여정을 되짚어보고, 앞으로의 해상풍력 정책방향과 에너지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제주도가 주최하고 국회의원 곽상언, 김동아, 김정호, 김한규, 문대림, 송재봉, 위성곤, 허성무 의원이 공동 주관했다.

오영훈 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제주는 1975년 제동목장에서 육상풍력발전을 시작해 국내 풍력발전의 출발지로서 50년의 역사를 이어왔으며, 2006년에는 탐라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통해 해상풍력도 국내 최초로 시작했다”고 제주도의 풍력발전 역사적 의의를 강조했다.

그는 이어 “민선8기 제주도정은 지난해 5월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2050년에서 15년 앞당긴 2035년으로 설정했다”며 “이 도전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7기가와트, 발전량 70% 이상 확보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공공주도 2.0 풍력개발 정책을 수립하고 추자도에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 지사는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과 제주의 풍력발전 정책이 시너지를 내며 국가 에너지 전환에 기여할 것”이라며 "제주형 공공주도 2.0 풍력개발의 핵심은 공공성과 주민 수용성으로, 도민들과 이익을 공유하고 갈등을 최소화하며 제도적 걸림돌을 개선함으로써 도민 참여형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실현의 전국적 모범 사례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두 건의 기조발제를 통해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갔다. 장다울 오션에너지패스웨이 대표는 ‘이재명 정부의 해상풍력 정책, 어디로 가야 하나’를 김범석 제주대학교 교수는 ‘제주 해상풍력 보급과 산업 육성을 위한 현안과 과제’를 각각 발표했다.

특히 김범석 제주대 교수는 높은 수준의 발전 단가, 출력 제한, 계통 부족 등 해상풍력 확대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는 국가 전력망과의 연결 확대를 통한 계통 연계 강화를 비롯해, 제주·전남·충남 등을 중심으로 총 24.56GW 규모의 해상풍력 공급망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력 수요지와 연계된 산업 유치 및 이익 공유 전략까지 아우르는 ‘초광역 해상풍력–RE100 동맹’을 제안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해상풍력 산업의 제도적 보완, 주민수용성 확보 방안, 공공성과 민간의 조화로운 협력 모델 등 다양한 과제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윤태환 루트에너지 대표는 ‘제주형 지역수용성 모델 2.0’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도민이 실질적으로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혜택을 공유하는 구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회는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주권 강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제주가 국내 해상풍력 산업의 전략적 거점으로서 역할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 17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토론회 ‘풍력 개발 50년, 제주의 성과와 과제’에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더욱이 토론회는 정부, 국회, 학계, 산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정책과 산업 육성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으며, 국가 에너지 정책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제주도는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과 해법을 향후 도정의 에너지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지역 수용성과 주민참여 기반의 해상풍력 모델을 선도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특히 재생에너지 중심의 새 정부 기조에 발맞춰 공공주도 2.0 풍력개발 정책 추진을 가속화하고, 국가와 함께하는 풍력개발을 통해 해상풍력의 메카로서 제주의 위상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관련기사